일상생활에서 정말 자주 쓰이는 단어, 메다 매다
많이 쓰이는 만큼 혼동되기도 쉬운데요,
저는 둘을 각각 언제 써야 할 지 공부를 해도 시간이 지나면 또 헷갈리더라구요ㅠㅠ
그래서 저는 매다 메다, 이 둘을 손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만들었답니다.
저처럼 매번 메다 매다를 혼동하시는 분들을 위한 쉬운 구분법과 기억법 지금 알려드립니다~
매다
매다는 무언가를 묶거나 고정시킬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신발 끈을 매다, 옷고름을 매다, 넥타이를 매다 와 같은 것들이 있죠.
메다
메다는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어깨에 배낭을 메다, 가방을 메다, 총을 메다 등이 있습니다.
자, 이렇게 뜻만 알아도 쉽게 구분이 됩니다.
그런데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또 헷갈리기 시작해요...
그래서 제가 한번 보면 잊기 힘든 구분법을 알려드릴게요.
메다 매다, 매다 메다 에서 다른 것이 무엇인가요?
바로 ㅐ 와 ㅔ 입니다.
이를 이용한 연상기업법입니다.
매다
ㅐ 는 중간 가로 작대기 ' - ' 가 세로 작대기 'ㅣ ㅣ' 사이에 갇힌 모양입니다.
ㅣㅡㅣ 이렇게 말이죠.
' - '는 'ㅣ' 둘 사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습니다.
>>> 매다는 무언가 묶거나 고정시킬 때 사용
메다
ㅔ 는 가로 작대기 ' - ' 가 세로 작대기 'ㅣ' 앞에 붙어있죠?
ㅡㅣㅣ 이렇게 말이죠.
' - '는 'ㅣ'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앞에 걸쳐져 있습니다.
>>> 메다는 걸치거나 올려놓을 때 사용
어때요?
글자 모양으로 뜻을 연상해서 구분하니 절대 까먹을 일 없겠죠?
일상생활에서는 이 정도면 불편함이 없으실 겁니다.
하지만 종종 다른 뜻으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좀 더 나아가서 다른 경우를 살펴봅시다.
○ 기뻐서 목이 메었다
○ 땅을 메다(메우다)
○ 마당이 메어 터지다
○ 총대를 메다
○ 부장님이 이 일에 목을 매고 있다.
○ 땅을 매다
보시다시피 우리가 위에서 구분한 뜻 이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메다'로 씁니다.
-어떤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잘 나지 않는 상태라는 의미의
목이 메다
-뚫려 있거나 비어 있는 곳이 막히거나 채워지다라는 의미의
하수도 구멍이 메다
-어떤 장소에 가득 차다라는 의미의
마당이 메어 터지다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다는 의미의
총대를 메다
+ 참고로 땅을 메다의 메다는 '메우다'의 잘못입니다.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매다는 단 두가지 경우만 기억하면 됩니다.
- 어떤 데에서 떠나지 못하고 딸리어 있다라는 의미의(사실 이것도 어떤 것에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따로 기억할 필요가 없겠죠?^^)
형은 그 일에 목을 매고 있다
- 논밭에 난 잡풀을 뽑다라는 의미의
땅을 매다
이렇게 기본적인 구분부터 좀 더 나아가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메다 매다 까지 알아봤는데요,
위에서 말씀드린 것만 기억해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매다 메다는 거의 100%로 구분할 수 있을 거라고 자신합니다!
마지막으로 저의 이 구분도 좋지만 좀 더 형식적인, 사전에 나와있는 구분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의 우리말 바로쓰기에서 다룬 내용을 첨부해드립니다.
https://ko.dict.naver.com/#/correct/korean/info?seq=6233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메다 매다, 매다 메다, 가방 매다 메다, 가방 메다 매다, 가방을 메다 매다, 가방을 매다 메다,
'정말 쉬운 국어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든지 던지/ 든가 던가/ 든던 완벽 초간단 구분 (0) | 2019.12.19 |
---|---|
웃풍, 외풍 잘 막아야하고 우풍은 쓰지 말아야해요~! (1) | 2019.12.12 |
연도 년도 사용법, 구분 어렵지 않아요~ (1) | 2019.12.07 |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차이와 사용법을 알아보자~ (1) | 2019.11.23 |
결제 결재 명쾌한 구분! 안 헷갈리는 방법! 사전적 의미!까지 정리 (0) | 2019.11.22 |
댓글